Javascript27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 : 반복된 문제에 대한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 객체지향의 디자인 패턴을 JS 에 적용 다만 JS에서 실제 클래스나 추상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지 않음 따라서, 전통적 디자인 패턴 구현 불가능 할 수 있음 그러나 근본적인 아이디어, 당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식은 동일함 생성자 디자인 패턴 매우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패턴입니다. Factory Pattern - 생성자 디자인 패턴 팩토리 "특정 구현으로부터 객체의 생성을 분리" 가장 일반적인 디자인 패턴 팩토리는 함수일 뿐이라서 사용자에게 더 적은 유연성을 제공 (사용자 관점) 팩토리는 클로저를 활용하 blancpaix.tistory.com Builder Pattern - 생성자 디자인 패턴 빌더 "유창한 인터페이스를 제공, 복잡한 객체의 생성을 단.. 2022. 2. 3. Closer Closure 설명하기에 좀 긴 과정이 필요하다. 단순히 클로저에 대한 정의만 필요하다면 이것을 보면 좋겠다. Closure means that an inner function always has access to the vars and parameters of its outer function, even after the outer function has returned. 클로저란 외부 함수가 반환되어도 내부함수가 항상 외부함수의 변수나 매개변수에 접근 할 수있다. 가장 간결하게 잘 설명한 문장이다. 클로저를 알기 전 필요한 것들을 먼저 짚고 넘어가겠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코드가 작성된 대로 값, 변수, 함수 등을 메모리에 할당하며 생명주기(life cycle)가 결정된다. 블록의 위치에 따라 전역변.. 2021. 11. 14. 버블링과 캡처링 버블링 간단하게 버블에 대해 말해보자면 액체 속에서 기포가 만들어지는것을 의미한다. 액체 속에서 기포는 항상 위로 올라가므로 버블링이라는 말이 나오면 어떠한 것이 위쪽으로 올라가는것을 생각하면 편할것이다. bubble sort도 높은 숫자가 먼저 올라가는 정렬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기포는 올라갈수록 액체의 압력이 감소하기때문에 크기가 커진다.) 여기서 말하는 버블링은 이벤트 버블링을 말하는데 DOM의 한 요소에서 이벤트 발생 시 핸들러를 동작시키고 더 나아가 부모의 핸들러를 동작시키는것을 말한다. 최종적으로 최상단의 부모 요소를 만날때까지 반복하며 핸들러가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이벤트는 버블링 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알고 넘어가야 할 것은 event.target이다. event.target .. 2021. 11. 1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