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3 [WSL] 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wsl에서 잘 동작하던 docker가 갑자기 동작하지 않는다. systemctl 명령어로 다시 실행해도, 아니 다른 명령어를 실행해도 도저히 실행되지 않는다. 그저 아래와 같은 반응만 보일 뿐이었다. 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Can't operate. Failed to connect to bus: Host is down 그냥 다음과같이 입력해서 실행 $ sudo -b unshare --pid --fork --mount-proc /lib/systemd/systemd --system-unit=basic.target $ sudo -E nsenter --all -t $(pgrep -xo systemd) runuser -P .. 2023. 3. 13. WSL 터미널 글자 색 변경하기 WSL을 터미널로 접속해서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편한 일이다. 하지만... 위의 사진과 같이 config파일의 주석문구나, 폴더를 나타내는 새파란 글자는 가독성이 매우 떨어진다. 눈이 아플정도로 뚫어지게 보거나 자세를 비틀어서 겨우겨우 본다. 물론 터미널을 놓아두는 모니터가 TN 패널인것도 있는데 IPS 패널에 갖다 놓아도 행동이 바뀌는것은 없다. 간단하게 본론부터 들어가보면 관리자 권한을 부여한 상태가 아닌 일반 상태에서 $ vi ~/.bashrc 마지막줄에 LS_COLORS=$LS_COLORS:'di=0;35:' ; export LS_COLORS 을 추가하고 $ source ~/.bashrc 로 설정을 적용시킨다. di=0;35: 에서 35가 이전에 보여주던 폴더의 파란색 색상을 뜻한다. 밑의 게시글.. 2023. 1. 2. [WSL] WSL에서 실행중인 Mysql 윈도우에서 접속하기 윈도우에 mysql이 실행중일 경우 mysql 종료 /etc/mysql/mysql.conf.d 에서 mysqld.cnf 설정 확인 - bind-address : 0.0.0.0 로 변경 $ sudo service mysql restart 로 mysql 재시작, 실패 시 /usr/log/mysql/error.log 파일 확인 root 로 mysql 접속 후 유저 생성 필요 시 권한 따로 부여하고 테스트용이니 아이디 새로 하나 만듦 만들 때 'YOUR_NAME'@'%'로 만들어서 외부에서 접속 가능토록 함. 권한은 주고싶은대로 접속하기 위한 주소는 또 다르다. windows에서 ipconfig 로 얻는 주소가 아니라 wsl에서 $ ifconfig eth0 의 inet IPv4 주소를 사용해서 mysql으로 접.. 2023. 1.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