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에서 지번으로 검색을 하면 경계를 따라 다각형을 만들고 색을 입혀 토지의 형태를 쉽게 파악하게 해준다. 다만, Kakao map API의 검색 결과에는 토지 경계 데이터는 제공하지 않는다. 네이버 지도도 마찬가지다.
경계에 대한 값들이 필요할 경우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한다.
그나마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오픈API (vworld.kr)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오픈API
2D데이터 API 2.0 레퍼런스 2D데이터 API 2.0 레퍼런스입니다. 연속지적도 (데이터버전 : 1.0) 지적이란 토지의 위치·형질 및 소유관계를 밝히는 제도를 말하며, 지적법에 의하여 토지에는 1구역마다
www.vworld.kr
이 api를 활용하는것인데 PNU값을 사용해 정확한 검색을 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단점이 있었는데, 정부에서 제공해주는 데이터라 그런지 토지의 경계가 최신 데이터로 업데이트 되고 있지는 않았다..
다른 방법으로는 연속지적_전국 - 오픈마켓 (nsdi.go.kr) 에서 제공하는 shp 파일에서 경계 좌표들을 추출하는것이다. 하지만 나에게 필요없는 데이터가 방대하며 vworld에서 제공해주는 데이터와 동일하게 최신의 데이터를 보내주지는 않았다. 두개의 결과가 동일하기때문에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전자를 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든 의문은 카카오와 네이버는 어디서 정보를 얻는것일까??....
무튼 오래된 지형 경계 데이터라도 제공해주는데 있어 감사함을 느끼고 Kakao Maps에 폴리곤으로 형상을 만들어서 토지 지형을 보여주도록 기능을 구현했다.
ps. 네이버지도가 카카오지도보다 비교적 업데이트 주기가 빠르다고 한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 Office Web add-in 로컬에서 사용하기 (0) | 2023.01.08 |
---|---|
MS Office Web add-in 콘솔 보기 (0) | 2023.01.06 |
OSI 7계층, TCP/IP 4계층 겉핥기 (0) | 2022.12.06 |
댓글